유형 1 교과의 교수학습방법에 AI‧디지털을 접목하여 설계
2023 융합 수업 사례: 인공지능 활용 영어 자기주도학습 프로젝트
- (개요)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‘핵심어 추출·시각화’ 방법을 익혀 영어 글쓰기에 활용
- (교과) 영어교과
- (수업 주제)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영어 글쓰기 활동
- (성취기준) [12영독02-08] 적절한 쓰기 전략을 적용하여 자기주도적으로 쓰기 활동에 참여한다.
- (적용 AI 기술) 구글트렌즈, 오렌지3, 자동번역기(ChatGPT, 파파고 외.)
- (수업 흐름) 제시된 AI 기술을 활용하여 학생의 자기주도적 글쓰기 유도
① 상황 및 유형 파악: 학생의 학습 주의 환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 구상
② 영어 자료 탐색: 구글트렌즈, 오렌지 3 활용 영문 자료 텍스트 마이닝
③ 글쓰기: 자신과 인공지능 도구의 영작 비교를 통한 영작 학습 방법 숙지
유형 2 교과와 AI의 내용적 측면(알고리즘, 문제해결 절차, 데이터 속성 등) 연계
2023 융합 수업 사례: 생성형 AI를 통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극으로 표현하기
- (개요)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시나리오를 생성·분석·평가하여 자신만의 글쓰기 완성
- (교과) 국어 교과
- (수업 주제) 생성형 AI를 통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극으로 표현하기
- (성취기준) [6국03-02] 목적이나 주제에 따라 알맞은 내용과 매체를 선정하여 글을 쓴다.
- (적용 AI 기술) 챗GPT, Vrew
- (수업 흐름) 생성형 AI를 통한 텍스트 생성을 넘어 비판적 분석·평가 및 창작
① 학교폭력을 주제로 극의 구성 요소를 챗GPT에 입력하여 시나리오 개발·재구성
② 챗GPT를 통해 개발한 극본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극으로 표현
③ 음성인식 텍스트변환 AI 프로그램을 통한 영상 제작
유형 3 AI·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교과 간 융합 수업 설계
2023 융합 수업 사례: 머신러닝으로 친환경 자동차와 대기오염물질의 관계 예측하기
- (개요) 인공지능을 통해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과학 원리 이해 및 데이터 해석
- (교과) 수학·과학·기술·미술·정보 교과
- (수업 주제) 머신러닝으로 친환경 자동차와 대기오염물질의 관계 예측하기
- (성취 기준)
[9수04-04] 통계적 탐구 문제를 설정하고, 공학 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, 그 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.
[12정02-04] 빅데이터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해석한다.
[12기가05-04] 친환경 에너지의 종류와 원리, 활용 사례를 탐구하며, 에너지 전환과 관련된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자신감과 태도를 갖는다.
- (적용 AI 기술) 오렌지3, 구글 스프레드시트, Bing Image Creator
- (수업 활동) 교과별로 필요한 학습 목적에 맞추어 AI·디지털 기술 활용
① 과학: 대기오염물질의 종류 및 배출원의 이해
② 기술: 내연기관 자동차의 원리 이해 및 친환경 자동차의 필요성 이해
③ 수학: 실생활에 대한 예측함수·기계함수의 모델 평가 과정에서 사용되는 손실함수 이해
④ 정보: 머신러닝을 활용한 친환경 자동차 등록 비중에 따른 오염물칠 배출량 예측,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미지 생성